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2-04 03:02본문
Download : 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.hwp
내장수용기로부터 중추신경계로 들어가는데는 두가지 경로가 있따 하나는 뒤뿌리를 통해 척수로 들어가는 것과 또다른 하나는 뇌신경을 통해 뇌줄기로 들어가는 경로이다. 신장수용기는 정맥, 방광 및 장관이 확대될 때 반응한다. 신장수용기는 정맥, 방광 및 장관이 확대될 때 reaction response한다. 압력수용기는 대동맥압력수용기 baroreceptor, 목동맥동 carotid sinus 및 폐에 존재한다.
수용기 Receptor 자율신경계의 수용기에는 기계적수용기, 화학적수용기, 유해수용기 및 온도수용기 등이 있다.
자율신경계의 수용기에는 기계적수용기, 화학적수용기, 유해수용기 및 온도수용기 등이 있다. 뇌줄기로 자율신경계의 구심정보를 전달하는 뇌신경에는 얼굴신경(CN. Ⅶ), 설인신경(CN. Ⅳ) 및 미주신경(CN. Ⅹ)이 있따 이들 뇌신경들은 미각과 내장 감각을 전달한다. 내장의 유해감각을 전달하는 구심섬유들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결을 가진다. 압력수용기는 대동맥압력수용기 baroreceptor, 목동맥동 carotid sinus 및 폐에 존재한다.
신경해부생리,자율신경계
수용기 Receptor
순서
구심신경로 Afferent pathway
c신경을 통해 뇌줄기로 들어오는 대부분의 내장감각정보는 주요 내장감각핵인 고립로핵 solitary nucleus에서 수렴된다된다.
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
Download : 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.hwp( 45 )
기계적수용기 mechanoreceptor : 압력이나 신장變化(변화)에 reaction response한다. 예를 들면, 변연계통은 호흡율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는 않지만 그 대신 교뇌와 수뇌에 있는 호흡조절중추의 활동에 effect(영향) 을 미친다. 고립로핵에 수렵된 내장감각정보는 이어서 교뇌와 수뇌에 있는 내장조절중추 visceral control area로 중개되고 다시 시상하부, 시상 및 변연계통에 있는 조절중추 modulatory area로 중개된다된다.
레포트 > 의학계열
· 체감각유해정보를 전달하는 구심섬유와 연접을 이루어 관련통 reffered pain 발생에 기여한다. 조절중추는 특정한 기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중추의 활동을 조절한다.
다. 기계적수용기 mechanoreceptor : 압력이나 신장변화에 반응한다.
설명
![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-8177_01.jpg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1309/%5B%EC%8B%A0%EA%B2%BD%ED%95%B4%EB%B6%80%EC%83%9D%EB%A6%AC%5D%20%EC%9E%90%EC%9C%A8%EC%8B%A0%EA%B2%BD%EA%B3%84%EC%97%90%20%EA%B4%80%ED%95%B4-8177_01.jpg)
![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-8177_02_.jpg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1309/%5B%EC%8B%A0%EA%B2%BD%ED%95%B4%EB%B6%80%EC%83%9D%EB%A6%AC%5D%20%EC%9E%90%EC%9C%A8%EC%8B%A0%EA%B2%BD%EA%B3%84%EC%97%90%20%EA%B4%80%ED%95%B4-8177_02_.jpg)
![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-8177_03_.jpg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1309/%5B%EC%8B%A0%EA%B2%BD%ED%95%B4%EB%B6%80%EC%83%9D%EB%A6%AC%5D%20%EC%9E%90%EC%9C%A8%EC%8B%A0%EA%B2%BD%EA%B3%84%EC%97%90%20%EA%B4%80%ED%95%B4-8177_03_.jpg)
![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-8177_04_.jpg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1309/%5B%EC%8B%A0%EA%B2%BD%ED%95%B4%EB%B6%80%EC%83%9D%EB%A6%AC%5D%20%EC%9E%90%EC%9C%A8%EC%8B%A0%EA%B2%BD%EA%B3%84%EC%97%90%20%EA%B4%80%ED%95%B4-8177_04_.jpg)
![[신경해부생리] 자율신경계에 관해-8177_05_.jpg](https://sales.happyreport.co.kr/prev/201309/%5B%EC%8B%A0%EA%B2%BD%ED%95%B4%EB%B6%80%EC%83%9D%EB%A6%AC%5D%20%EC%9E%90%EC%9C%A8%EC%8B%A0%EA%B2%BD%EA%B3%84%EC%97%90%20%EA%B4%80%ED%95%B4-8177_05_.jpg)
척수로 들어가는 내장구심섬유는 내장원심섬유와 연접을 이루어 자율신경반사 autonomic reflex를 조정하고 뇌줄기, 시상하부 및 시상으로 올라가는 신경원들과도 연접을 이룬다.